바이낸스-美 법무부 "3년 독립 준법 종료 협상"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 조회 13
본문
바이낸스-美 법무부 "3년 독립 준법 종료 협상"

바이낸스가 2023년 합의에서 부과된 3년 독립 준법 감시인 제도를 종료하기 위해 미국 법무부(DOJ)와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DOJ는 바이낸스에 대한 독립 모니터 요구를 해제할지 검토 중이다. 이 조치는 2023년 바이낸스가 자금세탁 방지 미비 등 다수의 규정 위반 혐의와 관련해 DOJ와 체결한 43억달러 규모 합의의 일부로, 당시 글로벌 사업 전체에 적용됐으며 미국 자회사 바이낸스US는 포함되지 않았다.
블룸버그는 이번 논의가 DOJ가 특정 사건에서 외부 감시인 제도를 축소하거나 종료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일 수 있다고 전했다. 글렌코어, 내트웨스트 그룹, 오스트레일리아의 오스탈 등 최소 세 개 기업이 외부 감시인 연장을 피한 사례가 확인됐다. 기업들은 외부 모니터 제도가 비용이 크고 운영에 부담을 준다고 비판해왔다.
바이낸스가 규제 의무 완화를 모색하는 시점은 미국에서 친산업적 규제 환경이 조성되는 흐름과 맞물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는 스테이블코인 법안 '지니어스법' 서명, 의회의 시장구조 법안 및 반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법안 통과 등 주요 조치를 추진해 왔다.
폴 애킨스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은 최근 "집행을 통한 규제 시대는 끝났다"며 토큰화와 같은 사안에 대해 더 명확한 가이던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SEC는 이후 유동 스테이킹 토큰이 대체로 증권법 적용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확정했다.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또한 외국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가 제한적으로 미국 고객을 서비스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등 행정부의 디지털 경제 정책 방향에 보조를 맞추고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