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금리인하 기대 후퇴에 사흘째 하락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 조회 13
본문
[뉴욕증시] 금리인하 기대 후퇴에 사흘째 하락

뉴욕증시의 주요 3대 지수가 사흘째 동반 하락했다. 미국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확정치가 큰 폭으로 개선되면서 금리인하 기대감이 옅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2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3.96포인트(0.38%) 내린 4만5947.32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3.25포인트(0.50%) 떨어진 6604.72,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13.16(0.50%) 하락한 2만2384.70에 각각 장을 마쳤다.
미국 2분기 GDP가 약 2년래 최대 폭으로 '깜짝 성장'하자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 조절론이 다시 고개를 들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계절 조정 기준으로 2분기 GDP 성장률 확정치는 전기 대비 연율로 3.8%를 기록했다. 1분기 성장률 확정치인 -0.6%와 비교하면 기저효과를 감안해도 큰 폭으로 반등한 것이다. 2023년 3분기의 4.7% 이후 가장 높은 성장률인 동시에 시장 전망치와 잠정치인 3.3%도 웃돌았다.
특히 수입 감소와 함께 소비 지출 증가로 경제 성장세가 살아난 점이 이목을 끌었다. 미국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가 살아났다는 것은 관세 불확실성을 딛고 정상 궤도로 복귀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날 함께 발표된 미국 8월 내구재 수주와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건수가 개선된 점도 이러한 인식에 힘을 보탰다. 내구재 수주는 기업의 설비투자 흐름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 제조업 활동을 예측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 8월 내구재 수주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3121억달러로 집계됐다. 전달보다 89억달러(2.9%) 늘었고 시장 예상치인 0.5% 감소도 크게 웃돌았다.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건수도 계절 조정 기준 21만8000건으로 시장 예상치인 23만5000건을 밑돌았다.
이처럼 경기가 호조를 보이자 금리 인하의 당위성이 약해졌다. 실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까지 기준금리가 0.5%포인트 인하될 확률을 60.4%로 반영하고 있다. 전날 마감 무렵엔 73.3%였다.
인공지능(AI) 산업 '거품론'도 이어지면서 증시를 짓눌렀다. 미국 클라우드 인프라 기업 오라클은 오픈AI와 초대형 계약을 체결한 것에 대해 의구심이 제기되면서 5.5% 내려 사흘째 약세를 보였다. 최근 최고점 대비 16%나 하락했다.
로스차일드 앤 코 레드번은 이날 보고서에서 "시장은 오라클의 최근 AI 클라우드 계약을 과대평가하고 있다"며 "오라클의 주가는 40% 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와 기술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하락했다. 최근 가파르게 상승한 테슬라는 이날 4.38% 밀렸다. 중고차 대형 유통업체 카맥스는 예상을 밑도는 분기 실적 발표에 20% 넘게 하락했다.
캐나다 광산 업체 리튬 아메리카스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분 인수를 추진한다는 소식에 전날 95% 넘게 급등한 데 이어 이날도 22% 급등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0.56포인트(3.46%) 오른 16.74를 기록했다.
관련자료
-
다음